지난 포스트에서는 국민연금 연기제도를 이용할 경우 예상 실수령액을 알아봤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국민연금 조기수령 제도를 이용할 경우의 예상 실수령액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국민연금 조기수령과 연기제도에 대해서는 지난 포스트를 참고하기 바란다.
2023.04.01 - [기타] - 국민연금 연기제도와 예상 실수령액
국민연금 연기제도와 예상 실수령액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 이어 연기제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연기제도의 특징과 예상 실수령액, 장단점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2023.03.26 - [기타] - 국민연금 조기수
showtal.tistory.com
2023.03.26 - [기타] - 국민연금 조기수령제도, 연기제도?
국민연금 조기수령제도, 연기제도?
국민연금 조기수령제도 국민연금 조기수령 제도는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노령연금을 정상적인 수령 연령보다 조기에 받을 수 있는 제도로, 노령연금 수급자의 생계 안정과 복지 향상에
showtal.tistory.com
조기수령제도 이용시 예상 실수령액
조기수령 시 연금액은 정해진 수급 연령이 됐을 때 받을 금액에서 앞당기는 1개월마다 0.5%씩 감액되어 연간 6~30%의 금액이 감액된다. 아래 예상액은 예상 연금 수령액이 100만원, 120만원, 150만원일 경우에 1~5년 일찍 연금을 받았을때의 예상 실수령액이다.
100만원:
1년 일찍 청구: 100만원 x (1 - 0.06) = 940,000원
2년 일찍 청구: 100만원 x (1 - 0.12) = 880,000원
3년 일찍 청구: 100만원 x (1 - 0.18) = 820,000원
4년 일찍 청구: 100만원 x (1 - 0.24) = 760,000원
5년 일찍 청구: 100만원 x (1 - 0.3) = 700,000원
120만원:
1년 일찍 청구: 120만원 x (1 - 0.06) = 1,128,000원
2년 일찍 청구: 120만원 x (1 - 0.12) = 1,056,000원
3년 일찍 청구: 120만원 x (1 - 0.18) = 984,000원
4년 일찍 청구: 120만원 x (1 - 0.24) = 912,000원
5년 일찍 청구: 120만원 x (1 - 0.3) = 840,000원
150만원:
1년 일찍 청구: 150만원 x (1 - 0.06) = 1,410,000원
2년 일찍 청구: 150만원 x (1 - 0.12) = 1,320,000원
3년 일찍 청구: 150만원 x (1 - 0.18) = 1,230,000원
4년 일찍 청구: 150만원 x (1 - 0.24) = 1,140,000원
5년 일찍 청구: 150만원 x (1 - 0.3) = 1,050,000원
마치며
본인의 상황에 맞게 연금제도를 잘 활용하여, 경제적으로 보다 안정된 노후 생활을 누릴 수 있길 바라며 이상 포스트를 마친다.
'복지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조건, 신청, 만기 (0) | 2023.05.01 |
---|---|
2023년 근로장려금 반기신청 조건과 지급일 (0) | 2023.04.05 |
국민연금 연기제도와 예상 실수령액 (0) | 2023.04.01 |
육아휴직제 신청조건 및 방법, 개선방향 (0) | 2023.03.27 |
신속 채무조정 특례 프로그램 확대 시행 (0) | 2023.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