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맛집/세계사

세계사에 접근하는 다양한 방법

by 감서 2023. 3. 27.

스페인의 레온 대성당(13~16세기) 세계적으로 유명한 성지길인 산티아고 순례길의 중간지점에 위치해 있어 순례자들에게 중요한 장소로 여겨진다.

 

세계사하면 너무 범위가 광범위해서 어디서부터 접근해야할지 난감하다. 무엇을 시작할때 어디서 시작해야할지 모를때는 작게 쪼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럼 세계사는 어떻게 쪼개볼 수 있을까?

 

세계사는 주로 기원전과 기원후로 크게 나눌 수 있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전통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시대로 구분할 수 있다.

 

세계사의 시대적 구분

 

1. 고대시대(Ancient History): 기원전 3,000년경부터 기원후 5세기(401~500년)까지를 포함하며, 이 시기에는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강 문명, 고대 중국, 그리스와 로마 제국이 발전했다.

 

2. 중세시대(Medieval History): 기원후 5세기(401~500년)부터 15세기(1401~1500년)까지를 포함하며, 이 시기에는 유럽의 중세 왕국들, 이슬람 황금 시대, 몽골 제국, 진나라와 송나라 등의 중국 역사, 그리고 아메리카의 아즈텍과 마야 문명이 발전하했다.

 

3. 근대시대 (Early Modern History): 15세기(1401~1500년)부터 18세기(1701~1800년)까지를 포함하며, 이 시기에는 르네상스, 종교 개혁, 과학 혁명, 대항해시대 등이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유럽 제국들이 아메리카와 아시아, 아프리카에 걸쳐 식민지를 세우기 시작했다.

 

3. 현대시대(Modern History): 18세기 말부터 현재까지를 포함하며, 이 시기에는 산업 혁명, 국민주의, 민주주의, 제국주의, 세계 대전, 냉전, 글로벌화 등의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이러한 시대 구분은 단순히 연대를 정리하는 것 외에도 각 시대의 중요한 사건, 변화,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세계사는 다양한 문화와 지역의 연대와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므로, 이러한 시대 구분은 항상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문화별와 지역별 분류

 

문화와 지역별로 세계사를 분류할 때는, 각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전통에 초점을 맞춘다.

 

1. 유럽 역사: 고대 그리스, 로마 제국, 중세 유럽 왕국들, 르네상스, 종교 개혁, 국민주의와 제국주의의 부상, 산업 혁명, 세계 대전, 유럽 통합 등이 포함된다.

 

2. 아시아 역사: 고대 중국, 인도, 일본, 한국, 동남아시아, 서아시아(중동)의 역사가 포함되며, 각각의 지역에서 중요한 시대와 문명, 제국이 발전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중국의 여러 왕조, 인도의 마우리아 제국과 굽타 제국, 일본의 쇼쿠호 시대와 에도 시대 등이 있다.

 

3. 아프리카 역사: 고대 이집트와 누비아, 그리고 서아프리카의 적도림 왕국들, 북아프리카와 이슬람의 세력 확장, 아프리카의 독립과 국가들의 현대화 등이 포함된다.

 

4. 아메리카 역사: 고대의 올메크, 마야, 아즈텍, 잉카 제국 등 원주민 문명, 유럽의 식민지화, 북미와 남미 독립운동, 미국과 캐나다의 성장, 남미의 현대사 등이 포함된다.

 

5. 오세아니아 역사: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과 뉴질랜드의 마오리 문화, 폴리네시아 선주민들의 확산, 유럽의 정착과 식민지화, 현대의 독립과 발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지역별 및 문화별 구분은 각 지역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세계사는 이러한 지역과 문화들이 상호작용하며 발전한 것이므로, 전체적인 연대와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외의 분류

 

세계사를 분류하는 또 다른 방법은 주요 사건, 사상, 기술, 경제 시스템 등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류 방식은 세계사를 특정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할 수 있게 한다.

 

1. 종교와 철학: 종교와 철학의 발전을 중심으로 세계사를 이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도의 힌두교와 불교, 중국의 도교와 불교, 유럽의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 이슬람 국가의 이슬람교 등의 발전을 되짚어보면서 세계사를 이해할 수 있다.

 

2. 기술과 과학: 세계사에서의 기술과 과학의 발전을 중심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동력기계와 산업 혁명, 컴퓨터와 정보 혁명, 인터넷과 글로벌화,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와 기후 변화 대응 등의 주요 발전을 중심으로 세계사를 조망할 수 있다.

 

3. 경제 시스템: 경제 시스템의 변화와 세계사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농업 혁명 이후의 전통적인 농업 사회, 중세의 봉건 제도, 근대의 자본주의와 산업 혁명, 20세기의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간의 경쟁, 그리고 현대의 글로벌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제 시스템 등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4. 정치 체제와 사회 구조: 국가와 정치 체제의 발전,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사회 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세계사를 구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고대의 도시국가와 제국, 중세의 왕국과 봉건 제도, 근대의 국민국가와 제국주의, 현대의 민주주의와 국제 관계 등의 주요 변화와 발전을 살펴볼 수 있다.

 

 

결론

 

이처럼 세계사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류하고 이해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방법이외에도 각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 예술작품, 주요 사건, 유명인물, 전쟁 등을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지, 세계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것은 각 분류 방법이 가지는 독특한 특징과 맥락에 주목하는 것이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지, 세계사를 다양한 시각에서 조망하면서 그것들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고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각 지역과 문화, 시대의 복잡한 상호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이 과정에서 세계사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인류의 역사와 발전에 대한 통찰력을 키울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