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하면 너무 범위가 광범위해서 어디서부터 접근해야할지 난감하다. 무엇을 시작할때 어디서 시작해야할지 모를때는 작게 쪼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럼 세계사는 어떻게 쪼개볼 수 있을까?
세계사는 주로 기원전과 기원후로 크게 나눌 수 있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전통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시대로 구분할 수 있다.
세계사의 시대적 구분
1. 고대시대(Ancient History): 기원전 3,000년경부터 기원후 5세기(401~500년)까지를 포함하며, 이 시기에는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강 문명, 고대 중국, 그리스와 로마 제국이 발전했다.
2. 중세시대(Medieval History): 기원후 5세기(401~500년)부터 15세기(1401~1500년)까지를 포함하며, 이 시기에는 유럽의 중세 왕국들, 이슬람 황금 시대, 몽골 제국, 진나라와 송나라 등의 중국 역사, 그리고 아메리카의 아즈텍과 마야 문명이 발전하했다.
3. 근대시대 (Early Modern History): 15세기(1401~1500년)부터 18세기(1701~1800년)까지를 포함하며, 이 시기에는 르네상스, 종교 개혁, 과학 혁명, 대항해시대 등이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유럽 제국들이 아메리카와 아시아, 아프리카에 걸쳐 식민지를 세우기 시작했다.
3. 현대시대(Modern History): 18세기 말부터 현재까지를 포함하며, 이 시기에는 산업 혁명, 국민주의, 민주주의, 제국주의, 세계 대전, 냉전, 글로벌화 등의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이러한 시대 구분은 단순히 연대를 정리하는 것 외에도 각 시대의 중요한 사건, 변화,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세계사는 다양한 문화와 지역의 연대와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므로, 이러한 시대 구분은 항상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문화별와 지역별 분류
문화와 지역별로 세계사를 분류할 때는, 각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전통에 초점을 맞춘다.
1. 유럽 역사: 고대 그리스, 로마 제국, 중세 유럽 왕국들, 르네상스, 종교 개혁, 국민주의와 제국주의의 부상, 산업 혁명, 세계 대전, 유럽 통합 등이 포함된다.
2. 아시아 역사: 고대 중국, 인도, 일본, 한국, 동남아시아, 서아시아(중동)의 역사가 포함되며, 각각의 지역에서 중요한 시대와 문명, 제국이 발전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중국의 여러 왕조, 인도의 마우리아 제국과 굽타 제국, 일본의 쇼쿠호 시대와 에도 시대 등이 있다.
3. 아프리카 역사: 고대 이집트와 누비아, 그리고 서아프리카의 적도림 왕국들, 북아프리카와 이슬람의 세력 확장, 아프리카의 독립과 국가들의 현대화 등이 포함된다.
4. 아메리카 역사: 고대의 올메크, 마야, 아즈텍, 잉카 제국 등 원주민 문명, 유럽의 식민지화, 북미와 남미 독립운동, 미국과 캐나다의 성장, 남미의 현대사 등이 포함된다.
5. 오세아니아 역사: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과 뉴질랜드의 마오리 문화, 폴리네시아 선주민들의 확산, 유럽의 정착과 식민지화, 현대의 독립과 발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지역별 및 문화별 구분은 각 지역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세계사는 이러한 지역과 문화들이 상호작용하며 발전한 것이므로, 전체적인 연대와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외의 분류
세계사를 분류하는 또 다른 방법은 주요 사건, 사상, 기술, 경제 시스템 등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류 방식은 세계사를 특정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할 수 있게 한다.
1. 종교와 철학: 종교와 철학의 발전을 중심으로 세계사를 이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도의 힌두교와 불교, 중국의 도교와 불교, 유럽의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 이슬람 국가의 이슬람교 등의 발전을 되짚어보면서 세계사를 이해할 수 있다.
2. 기술과 과학: 세계사에서의 기술과 과학의 발전을 중심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동력기계와 산업 혁명, 컴퓨터와 정보 혁명, 인터넷과 글로벌화,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와 기후 변화 대응 등의 주요 발전을 중심으로 세계사를 조망할 수 있다.
3. 경제 시스템: 경제 시스템의 변화와 세계사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농업 혁명 이후의 전통적인 농업 사회, 중세의 봉건 제도, 근대의 자본주의와 산업 혁명, 20세기의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간의 경쟁, 그리고 현대의 글로벌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제 시스템 등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4. 정치 체제와 사회 구조: 국가와 정치 체제의 발전,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사회 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세계사를 구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고대의 도시국가와 제국, 중세의 왕국과 봉건 제도, 근대의 국민국가와 제국주의, 현대의 민주주의와 국제 관계 등의 주요 변화와 발전을 살펴볼 수 있다.
결론
이처럼 세계사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류하고 이해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방법이외에도 각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 예술작품, 주요 사건, 유명인물, 전쟁 등을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지, 세계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것은 각 분류 방법이 가지는 독특한 특징과 맥락에 주목하는 것이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지, 세계사를 다양한 시각에서 조망하면서 그것들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고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각 지역과 문화, 시대의 복잡한 상호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이 과정에서 세계사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인류의 역사와 발전에 대한 통찰력을 키울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