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요약/서양문학

로렌스의《아들과 연인》

by 감서 2023. 3. 23.

 

작가


로렌스의 "아들과 연인"은 영국의 대표적인 작가 D.H. 로렌스(David Herbert Lawrence)가 쓴소설이다. 1885년 9월 11일 영국 노팅엄셔주 이스트우드에서 태어난 로렌스는 소설가, 시인, 플레이 라이트, 예술 평론가로 활동했다. 가난한 환경에서 자란 그는 다양한 직업을 거쳤는데, 노팅엄 대학교에서 교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한동안 교사로 일했다. 그러나 1912년 결핵으로 인해 교직에서 떠나게 되었고, 이후 전념하여 문학 작품을 썼다. 소설 작품 뿐만 아니라 시와 장편 소설, 단편 소설, 플레이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한 그의 작품은 인간의 본능적인 욕망과 사회의 억압, 그리고 인간의 성 정체성을 탐구한 것으로 유명하다.

 

줄거리

 

D.H.로렌스의 "아들과 연인(Son sand Lovers)"는 20세기초 영국의 산업도시를 배경으로, 모렐가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사랑, 인간관계, 성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소설의 주인공 폴 모렐(Paul Morel)은 광부인 아버지 월터(Walter)와 아버지와는 달리 지적이고 독립적인 어머니 게르트루드(Gertrude) 사이에서 태어난다. 게르트루드는 월터의 잦은 음주와 폭력으로 인해 남편에게 실망하게 되고 오로지 아들 윌리엄과 폴에게 사랑과 관심을 쏟는다.

 

그러던 중 폴의 형인 윌리엄이 런던에서 일하다 갑작스런 병으로 죽게 되자 큰 충격을 받은 게르트루드는 폴에게 더욱 매달리게 되는데, 어머니와 더욱 강한 유대를 맺게 된 폴은 다른 여성들과 가까워지는 걸 어려워하며 미란다와 클라라와의 관계에서도 사랑에 실패한다. 미란다는 정서적이고 지적인 면에서 폴과 매우 유사하지만, 그들의 관계는 지속적인 갈등과 이해되지 않는 기대들로 완전한 관계로 발전하지 못한다.

 

클라라는 남편 베이츠와 결별한 이혼녀로 폴과 미란다의 관계에 대해 질투심을 느끼고 있었다. 폴은 미란다와 헤어지고 클라라는 이혼 준비를 하면서 둘은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클라라와의 관계는 폴을 성적으로 성숙시켜주긴 하지만 결국 그의 어머니와의 유대 관계를 풀어주지는 못한다. 그 후 폴은 어머니가 암으로 죽자 깊은 슬픔에 빠져 삶의 의미와 목적을 잃어버리지만 결국 자신만의 길을 가게 된다.

 

등장인물

 

폴 모렐 (Paul Morel) - 작품의 주인공으로, 작가 D.H. 로렌스의 자전적 인물로 여겨진다. 폴은 성장 과정에서 어머니와 매우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며, 어머니로부터 남녀관계에 있어 많은 영향을 받는다. 폴은 두 여성, 미란다와 클라라와의 사랑을 통해 성장한다.

게르트루드 모렐 (Gertrude Morel) - 폴의 어머니로, 이 작품의 중요한 인물 중 하나이다. 게르트루드는 결혼 생활에서 불행을 겪고, 자신의 기대와 꿈을 아들 폴에게 뒤집어씌운다. 이로 인해 폴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월터 모렐 (Walter Morel) - 폴의 아버지이자 게르트루드의 남편으로, 광부로 일하며 자주 술에 의존한다.

미란다 르버스 (Miriam Leivers) - 폴의 첫 번째 사랑으로, 그녀는 영적인 면에서 폴과 매우 유사하다. 미란다와 폴 사이의 관계는 어머니와의 관계로 인해 힘들어 지게 된다.

클라라 도슨 (Clara Dawes) - 폴의 두 번째 사랑으로, 폴은 그녀를 통해 성적인 경험과 자유로운 사랑을 경험한다. 그러나 클라라와의 관계도 어머니와의 관계에 영향을 받아 실패하게 된다.

윌리엄 모렐(WilliamMorel) - 폴의 형으로, 그 역시 어머니 게르트루드와 매우 가까운 관계를 맺고 있다. 윌리엄은 런던으로 이사하여 도시생활에 적응하게 되지만, 어머니와의 강한 유대감 때문에 사랑에 성공하지 못한다.


"But better die than live mechanically a life that is a repetition of repetitions." - D.H. Lawrence, "Sons and Lovers"

"반복의 반복인 인생을 기계적으로 살아가기보다는 차라리 죽는 것이 낫다." - D.H. 로렌스, "아들과 연인"

 

반응형

댓글